1-2 Springboot 포트번호, 서버 호환 확인하기

Springboot
홍윤's avatar
Aug 14, 2024
1-2 Springboot 포트번호, 서버 호환 확인하기
1.나의 포트 번호 확인하기!! → 8080
notion image

  1. 실행시켜서 서버가 연결 되었는지 확인 하기
    1. (404 에러!! URL에 해당하는 리소스가 서버에 없다. 스샷을 보면 페이지가 나온다.)
notion image

3. view 영역(외부 파일이 있음) → resources → static (view 파일들을 넣기)
notion image

4.save-form,list,detail,update-form 파일들이 서버에 연결이 잘 되어 있는지 주소창에 들어가보기!
ex) localhost:8080/board, 4개 파일들이 에러 없이 잘 들어가지는 걸 볼 수 있다.!!!
notion image
notion image
notion image
notion image

  1. templates Directory를 만들고 static 안에 파일들을 다시 복사 해주기!
    1. 복사하는 이유는: 부분 템플릿을 만들어 보기 위해!
notion image

  1. templates 안에 있는 파일들을 확장자 .mustache로 바꿔주기!
💡
static 안에 들어가 있는 파일들은 정적, templates 안에 들어가 있는 파일은 동적
notion image
notion image

  1. 파일→ 세팅 → 플러그인→ Mustache → install (확장자를 읽어내기 위해)
notion image

  1. board 폴더를 만들고 BoardController 식별자 클래스 만들고 @컨트롤러 하기
notion image
notion image

  1. templates 폴더를 만들고 파일명을 깔끔하게 하기 위해 파일에서 .keep파일을 만들고 board에 옮긴다.
💡
.keep 파일을 만들지 않고 board에 파일을 옮겼을 때 board에 들어가 4개의 파일들 이름이 길어지고 가독성이 떨어진다.
notion image

10.board 안에 들어갔으니까 list 이름을 변경한다.
notion image
💡
URL에는 일반적으로 대문자, 카멜표기법, 언더바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웹 개발에서 권장되는 관례입니다.
  1. 소문자 사용: URL은 대문자 대신 소문자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대소문자를 구분하는 서버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소문자로 통일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1. 하이픈(-) 사용: 단어를 구분할 때 언더바(_) 대신 하이픈(-)을 사용합니다. 하이픈은 URL에서 가독성이 좋고, 검색 엔진 최적화(SEO)에도 유리합니다.
  1. 카멜표기법 지양: 카멜표기법은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하는 방식으로, URL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URL에서 소문자와 하이픈을 사용하는 것이 표준적인 방식입니다.
예시:
  • 올바른 URL: example.com/my-page
  • 권장되지 않는 URL: example.com/My_Page or example.com/myPage
이런 컨벤션을 따름으로써, 일관된 URL 구조를 유지하고, 웹사이트의 접근성과 SEO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Share article

U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