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여쓰기,변수명 의미있게(제일 중요함) ex)studeuntNumber
- 클래스명-대
- 말로 설명 할 줄 알아야한다.
- sum+=i; 보단 sum=sum+i;로 쓰는게 좋음
- 변수=변하는 숫자, 상수x
- 공간은 크키가 들어가야 한다
- 변수선언→int m(int=4byte,m=변수지정)
- 자료형(data type)=int 등등; 크기를 지정해준다
- 실수는 (정밀도,flaot=4byte,double=8byte)
- 문자는(char(문자),String(문자열)[ ]
- 학생 설정적구하기→학생의 점수를 받는다→총점을 구한다.→평균을 구한다.
배열
- int score 0,int socre1 ,.int socre3,
- total=scor1+scor2+scor3, AVG=scor1+scor2+scor3/3
- ❤배열은 물리적으로 연속된 공간에서 동일한 자료형의 자료를 저장하는 구조(정수면 정수만, 문자면 문자만 배열을 해야함)
- int[3] scores Ex) scores[0]=50; , scroes[1]=60;….등등
- 배열은 0부터 시작한다.
- int[] scores =new int[3](3개의 배열에 넣겠습니다) :스코어라는 이름으로 배열이 만들어 짐
- {1,2,3}으로 할 수 있다 그러면 배열은 3개:0,1,2
- 반복문 끝내는 방법 break ;
- 코딩을 글로 쓰고 말하는 연습하기
- 배열은 반복문을 무조건 사용한다!!!!!
int total=0;
for(초기값 ; 조건식 ; 증강식 ){
i=0; i<3 i++
total=total+scores[];=변수를 넣어도 된다, 100이든 10000이든 코드는 똑같다.
}
int[ ] a= new int [3];
a =(ㅁ(0)ㅁ(1)ㅁ(2)0, a[0]=1;
- 배열의 인덱스 번호에 숫자 뿐 아니라 변수를 써도 된다.-ㅅ,택(이름을 붙일 수 있는 영역),힙(이름을 붙일 수 없는 영역), 배열 생성 코드 int[]a=mew int[3];
- 만약 ~~~ 라면 코드를 if( true/ false=boolean ) Ex) int n=10 이면 if(n=10) true, if(n ! = 10)false
else if( 거짓일 때 수행 )
배열식
- int[]x=new int[ 5] int[]y=new int [5] x[0]=1; x[1]=2; x[2]=3; x[3]=4 x[4]=5
for(i=0 ; i<=5 ; i++ ) {
system.out.print(y[i]=x[i]);
}
{
{
- int[]x={ 1,2,3,4,5,6,7,8,9,10 };
- int[]x=new int[10];
- int[] evens=new int [5]; 이븐스계열에 짝수만 표시하게 한다
evens 2 4 6 8 10
z 0 1 2 3 4
{=블록,블록블레이스
public cal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 ] a=new int[3];
a[0]=1;
a[1]=2;
a[2]=3;
for( i=0 ; i<=3 ; i++ )
system.out.print([i]);
// a[0]=1;
// a[1]=2;
// a[2]=3;
// system.out.print(a[0]);
}
}
- Random rd = new Random();
자료형 변수 생성자
int rdnum=rd.nextint(5);
system.out.println(rdnum);
컴파일 하면 0,1,2,3,4
주사위를 100번 던져서 1 몇번나오는지 2가 몇번아노느지
클래스 만들 때 Random에 빨간색 밑 줄이 그이면 ctrl+shift+o
hist[rdNum-1]++;
- 좌석 예약 프로그램
seats 열개의 배열
예약할 좌석 선택 3 엔터를 누루면 예약되었습니다.
계속하겠습니까? 0:no 1:yes
yes를 누루면 좌석을 계속 선택
예약이 되었으면 0 0 1 0 0 0 0 0 0
1 2 3 4 5 6 7 8 9 10
0 0 1 0 0 0 0 0 0 0
- 함수=메서드(Calss구역안에 넣게 되는 함수를 메서드라고 부른다)
- System.out.printIn();, Scanner.nextInt(), rd.nextInt(10)+1;, main
- 공통점: 괄호가 붇는다 괄호가 붙으면 함수
- 자료형,함수이름( 자료or 준비자료 ){ 함수의 끝에는 무조건 return; 키워드가 붙는다
- return의 기능은 함수가 끝났습니다 알려주는 거다
- Ex)return1; 이렇게 썼다면 함수를 호출한 누군가가 있다. 누군가 한테 1을 돌려준다. 그게 리턴이다. 1의 자리형은 int다 자료형이 int가 된다.
- Ex)return “안녕”은 자료형이 String이 된다, return 10.3; 이면 자료형은 double이다.
- 자료형,함수이름(자료형 변수형 더 있을 경우 “,”를 한다.) 없다면 없다
- 배열문법: int [ ] a= new int [3];
- = int input; int=sc.nextInt();→ seats[(input=3,똑같은 말이다)]=1;
- 함수의 형태= 1:(함수의 자료형) 2:(함수의 이름) 3:( ): 함수의 입력부
. 4:함수의 끝날때 retrun; 1:적여있으면 int, ‘a’=char, “a”=String, 3*1.0=double, i==1;= boolean 타입
- 함수를 만드시오: 임의의 정수를 하나 입력받아 3을 더한 값을 출력(return)하는 함수
. 이름: add3
- 메인 메소드 안에 배열을 만들러면 배열값 앞에 표시된 것을 보고 똑같이 써준다
Sha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