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클립스 포맷하는 법
- window→Prefernces→enc→workspace→ text file encoding→UTF-8
작업하는 법
- New→calss→name(이름적음)→finish,
- 글자크기 조정→ctrl + +/-
- 작업삭제 방법= 파일 누루고 딜리트
- Project→package→class(java) 패키지 생략해줌
- 패키지 만드는법= 메인에다→New→package→작업이름넣기
- 1.메인 메소드 New→class→ name→public staic 체크
- 2.탭→main→컨트롤스페이스+엔터
- 3.패키지 마우스찍고→컨트롤n→class 이름적고 엔터
- ;=세미콜론,:=콜론
- 실행어 넣는 법 syso(어떤 단어든)→컨트롤스페이스
- 컨트롤F11 (컴파일과 실행까지)
- 컨트롤+ m (토글방식)
- 복사 방법= 컨트롤+ 알트 + 방향키(아래/ 위)
- 복사이동 방법= 알트+ 방향키(아래/ 위)
- 작업 끝내는 단축키= 한개창→컨트롤+ w
- 작업 끝내는 단축키= 한개창 이상 닫기→컨트롤+ 쉐프트+ w
- 주석 ctrl+x / (토글)
- 되돌리기 : 컨트롤+ z
- 되돌리기 역방향: 컨트롤 + y
- 범위지정: 쉬프트+ 방향기(아래 / 위)
2장 기본프로그래밍 식별자
- 식별자:클래스,변수,상수,메소드 등에 붙이는 이름
- 식별자의 원칙:1. 특수문자 사용X,’’,$는 사용가능 2.한글 사용가능 3.식별자의 첫 번쨰 문자로는 숫자 사용X 5.불린 리터럴과 널 리터널은 식별자로 사용불가
- 대소문자 구별O: Test와test는 별개의 식별자
- 좋은 이름 붙이는 언어관습: 1.목적을 나타내는 이름(s보다 sum) 2.충분히 긴 이름 붙이기(AVM보단 AutoVendingMachine)
- 자바 언어의 이름붙이는 관습 1.클래스 이름(첫번째 문자는 대문자로 시작),(각 단어의 첫 번째 문자만 대문자)
- 변수: 변하는 수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 1.변수는 그릇, 데이터는 그릇에 담긴 내용물 2. 메모리 공간에 이름이 붙여져 관림됨 EX)-int age = 21; int(타입),age(변수명),21(메모리공간)
- 타입: 변수가 이름 붙여진 그릇이라면, 타입은 그릇에 담길 내용물 종류. 다양한 타입 변수의 선언(int,double,boolean,srting)
- 자바의 데이터 타입: 논리 타입(boolean),문자타입(char), 정수타입(byte,short,int,long),실수 타입(float,double)
- 래퍼런스 타입: 1.배열(array) 2.클래스(class), 3.인터페이스(interface)
- 기본 타입 변수 사용 예(정수형:3,-7,0),(실수형3.14,-9.81),(논리형true,flase),(문자형 ‘A’,’B’)
- 레퍼런스 타입 주소삾을 갖는 데이터 형태 Ex(문자열: String bookTitle=자바를 부탁해
- 문자열은 String을 많이 쓸 수 밖에 없다1.’’2.””3,’A’,4,’AA(틀린 값)’,5,”A”,6.”AA”
- 문자열이 섞인+ 연산→문자열 연결

- 변수 이름 짓기: 변수의 이름은 영어로 권장하면 소문자의 명상형(main 메소드도 소문자로 시작)
- 여러 단어로 이루어진 경우, 각 단어의 첫글자 대문자롤 하는 카멜 표기법(camel case)사용

- 자바의 키워드는 변수의 이름이 될 수 없다

- 래퍼런스 변수

- 기본 변수

2장 기본프로그래밍 상수,문자열
- 상수: 변수의 값은 고정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개녀이 상수, 상수는 final 키워드를 붙여 선언,상수의 이름은 대문자와 밑줄로 관례

- 변수의 값 복사

- 문자열 연결

- 문자열과 숫자의 연결

2장 3리터널
- 리터널=나오면 변수 값이다.

숫자 뒤에 대문자 붙이는 이유는: 명시하기 위함
2장 리터럴종류,실수타입

실수 타입

- JDK7부터 숫자에 ‘_’ 허용, 가독성 높임

- 0000=0
- 1111=15
- 문자열과 숫자 간 타입 변환

- 숫자를 문자열로 바꾸는 예

Sha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