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리버스 프록시(Reverse Proxy)
- 리버스 프록시(Reverse Proxy)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대신 받아 백엔드 서버로 전달하고, 백엔드 서버의 응답을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는 서버입니다. 클라이언트는 리버스 프록시를 통해서만 백엔드 서버에 접근하며, 직접 백엔드 서버와 상호작용하지 않습니다.
리버스 프록시는 주로 여러 가지 이유로 사용됩니다:
1. 리버스 프록시의 역할과 사용 목적
1) 로드 밸런싱 (Load Balancing)
- 여러 개의 백엔드 서버에 클라이언트 요청을 분산시켜 서버 간 트래픽을 고르게 나누는 데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서버 과부하를 방지하고, 더 나은 성능과 가용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2) 보안 강화
- 클라이언트는 백엔드 서버의 IP 주소나 실제 위치를 알 수 없습니다. 대신 리버스 프록시 서버만 접속하게 되므로 백엔드 서버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 리버스 프록시는 방화벽 역할을 하며, SSL/TLS 암호화 처리를 통해 안전한 통신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3) 캐싱
- 리버스 프록시가 백엔드 서버에서 받은 응답을 캐싱하여, 동일한 요청이 반복될 경우 백엔드 서버를 거치지 않고 캐시된 응답을 반환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서버 부하를 줄이고 응답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4) SSL 종료 (SSL Termination)
- 리버스 프록시에서 SSL 인증서를 설치하고, HTTPS 트래픽을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백엔드 서버로의 트래픽은 HTTP로 보내어 SSL 암호화 처리를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
5) URL 리라이트 (URL Rewriting)
-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URL을 변경하여 다른 서버로 전달하거나, 요청된 리소스의 경로를 수정하여 백엔드 서버가 이를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2. 리버스 프록시 vs. 포워드 프록시
- 리버스 프록시는 클라이언트를 대신하여 서버에 접근합니다.
- 반면에, **포워드 프록시(Forward Proxy)**는 서버를 대신하여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서버로 전달합니다. 주로 클라이언트 측에서 방화벽을 우회하거나, 인터넷 접속을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3. 리버스 프록시의 사용 예시
1) Nginx 리버스 프록시 설정 예시
Nginx는 많이 사용되는 리버스 프록시 서버 중 하나입니다. 다음은 Nginx를 이용해 리버스 프록시를 설정하는 예시입니다:
server {
listen 80;
server_name example.com;
location / {
proxy_pass http://localhost:8080; # 백엔드 서버로 요청을 전달
proxy_set_header Host $host;
proxy_set_header X-Real-IP $remote_addr;
proxy_set_header X-Forwarded-For $proxy_add_x_forwarded_for;
proxy_set_header X-Forwarded-Proto $scheme;
}
}
proxy_pass http://localhost:8080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localhost:8080에 위치한 백엔드 서버로 전달합니다.
proxy_set_header
는 클라이언트의 IP 주소나 요청 정보를 백엔드 서버에 전달하기 위한 헤더 설정입니다.
2) Apache 리버스 프록시 설정 예시
Apache 웹 서버를 리버스 프록시로 설정하는 예시입니다:
<VirtualHost *:80>
ServerName example.com
ProxyPreserveHost On
ProxyPass / http://localhost:8080/
ProxyPassReverse / http://localhost:8080/
</VirtualHost>
ProxyPass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localhost:8080의 백엔드 서버로 전달합니다.
ProxyPassReverse
: 백엔드 서버의 응답을 클라이언트로 전달할 때, URL을 다시 조정하여 클라이언트가 리버스 프록시 서버에 대해 알지 못하게 합니다.
4. 리버스 프록시의 장점
- 보안: 백엔드 서버를 클라이언트로부터 숨길 수 있습니다.
- 성능: 캐싱과 로드 밸런싱을 통해 서버 성능을 최적화합니다.
- 유연성: SSL 처리, URL 리라이트, 다양한 트래픽 제어가 가능합니다.
- 확장성: 여러 서버 간의 트래픽 분산으로 확장성을 제공하고, 서버 다운타임을 줄일 수 있습니다.
5. 리버스 프록시의 활용 시나리오
- 대형 웹사이트나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여러 서비스로 트래픽을 분산시키기 위해 자주 사용됩니다.
- CDN(Content Delivery Network)과 함께 캐싱을 통해 웹사이트의 성능을 높이는 데 사용됩니다.
- SSL 인증서를 리버스 프록시에만 설정해 백엔드 서버의 SSL 관련 설정을 간소화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리버스 프록시는 트래픽 제어, 보안 강화, 성능 개선, 확장성 향상 등 여러 면에서 웹 애플리케이션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리버스 프록시(Reverse Proxy)는 디자인 패턴인가?
리버스 프록시는 패턴이 아닌 아키텍처적 구성 요소
리버스 프록시는 소프트웨어 설계에서 패턴보다는 아키텍처적 구성 요소로 더 많이 언급됩니다.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위치하여, 요청을 관리하고 처리하는 역할을 하는 중계 서버이기 때문입니다.
리버스 프록시와 관련된 아키텍처 패턴
- 레이어드 아키텍처(Layered Architecture): 여러 계층을 나눠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의 중간 계층에서 요청을 처리하는 방식.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icroservices Architecture): 마이크로서비스의 각 서비스를 하나의 리버스 프록시를 통해 관리하고, 요청을 적절한 서비스로 분배하는 구조.
정리
- 리버스 프록시는 디자인 패턴은 아니지만, 프록시 패턴과 개념적으로 유사한 아키텍처적 개념입니다.
- 프록시 패턴은 소프트웨어 객체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설계 패턴이고, 리버스 프록시는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요청과 응답을 제어하는 중계 서버 역할을 합니다.
- 두 개념은 모두 중간에서 대리 역할을 하며, 보안, 로드 밸런싱, 캐싱, 접근 제어 등의 부가 기능을 제공합니다.
Share article